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01 News
댄스/무용
문화/예술
사회/경제
공연/축제
방송/연예
전통/연희
02 Dance TV
TV Dance
HipHop
Salsa & Bachata
Line Dance
Traditional Dance
ZumBa
Ballet
Modern Dance
Contents TV
03 Dancer & Artist
e사람 e춤
명인 인터뷰
칼럼 초대석
유망주 프리뷰
오거나이저
리뷰&인터뷰
문화칼럼&문화리뷰
04 Dance Edu
Line Dance
TV Dance
Salsa & Bachata
HipHop & Zumba
Traditional Dance
Modern Dance
05 Contest
Event
Contest
06 Conference
Workshop
Conference
Seminar
Party
07 Dance Media
Dance Photo
Dance VOD
Dance Movie
08 Dance Club
Lesson
Schedule
Society
Academy
Party
09 Health/ Beautiful
커뮤니티
선호하는 뉴스
01 News
댄스/무용
문화/예술
사회/경제
공연/축제
방송/연예
전통/연희
02 Dance TV
TV Dance
HipHop
Salsa & Bachata
Line Dance
Traditional Dance
ZumBa
Ballet
Modern Dance
Contents TV
03 Dancer & Artist
e사람 e춤
명인 인터뷰
칼럼 초대석
유망주 프리뷰
오거나이저
리뷰&인터뷰
문화칼럼&문화리뷰
04 Dance Edu
Line Dance
TV Dance
Salsa & Bachata
HipHop & Zumba
Traditional Dance
Modern Dance
05 Contest
Event
Contest
06 Conference
Workshop
Conference
Seminar
Party
07 Dance Media
Dance Photo
Dance VOD
Dance Movie
08 Dance Club
Lesson
Schedule
Society
Academy
Party
09 Health/ Beautiful
전체 기사
커뮤니티
선호하는 뉴스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01 News
02 Dance TV
03 Dancer & Artist
04 Dance Edu
05 Contest
06 Conference
07 Dance Media
08 Dance Club
09 Health/ Beautiful
댄스TV 소개
선호하는 뉴스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03 Dancer & Artist
리뷰&인터뷰
리뷰&인터뷰
다음
이전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강구연월(康衢煙月)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풀이의 춤판’이 10월의 첫날을 물들였다. 박영미 선우예술단&푸리무용단의 이다. 2025 모든예술31 경기예술활동지원 ‘부천예술찾기 미로(美路)’ 선정작 무대가 2025년 10월 1일, 부천 오정아트홀에서 개최됐다.번화한 네거리에 달빛이 연기에 비치는 풍경을 의미하는 ‘강구연월(康衢煙月)’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10.11 16:20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빛의 굴레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모든 것은 균형이다. 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로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는 ‘도파민(dopamine)’. 행복, 즐거움, 쾌감, 보상이라는 순기능도 있지만 과하거나 중독에 이르면 더 강한 자극을 찾는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개인 차원을 넘어 ‘도파민 사회’로 확장된다면 영원한 굴레에 갇히는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10.03 14:53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국립무용단 사자의 서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삶과 죽음’, 영원한 인간의 명제다. 국립무용단이 죽음을 택했다. 그 죽음은 삶을 바라봤다. 국립무용단 다. 작년 4월 초연 이후, 올해 성남 등 투어를 거쳐 2025년 9월 17~20일(평자 20일 관람),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랐다. 2025-2026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 첫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9.28 16:14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손혜영의 태평누리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아정했다. 아정함은 전통춤의 성정(性情) 중 백미로 볼 수 있다. 그러한 명실상부함을 보여준 무대가 2025년 9월 17일(수), 한국문화의집 KOUS에서 있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의 ‘2025년 이수자 지원사업’ 선정작 무대에서 아정 손혜영은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이수자 면모를 유감없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9.22 17:00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무여도(舞如道)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단체 창단에는 여러 의미가 있다. 인적 자원이 모인 결합체(結合體)라는 일차적 의미가 있다. 외적 측면이 이것이라면 그 속에 깊게 자리잡고 있는 것이 바로 결사체(結社體)다. 공동의 목적과 방향이 포인트다. 승무 예능보유자 故 이애주의 뜻을 전승, 보존, 발전시키고자 이애주춤보존회가 2024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9.20 16:12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이세이 안무 ‘단하나’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음을 뜻하는 ‘단 하나’. ‘생명’, ‘나(我)’, ‘공기’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다. 춤 또한 ‘본(本)’이 중요하다. 춤의 근본 가치를 탐미하니 세상, 사회와도 연결된다. 나, 춤, 사회 등을 확장성 있게 바라본 무대가 있었다. 2025년 9월 12일, 대전예술의전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9.17 17:47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김성훈의 ‘pink’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미학의 중심축은 미(美)와 추(醜)다. 대립적일 수 있지만 양자는 미의 바다를 오간다. 상승과 확장을 시도한다. 현대무용가 김성훈이 무대 위에 ‘폭력’을 올렸다. 표피가 아닌 내면을 들여다보고자 숭고한 춤의 메스를 꺼내 들었다. 세종문화회관의 ‘Sync Next(싱크 넥스트) 25’에서다.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9.15 14:18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유진주의 춤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춤은 흐른다. 하지만 그 사이에는 춤이 머물기도 한다. 흐름 속 멈춤, 멈춤 속 흐름이 춤에는 고요하게 침잠되어 있다. 춤단아 대표 유진주 선생이 마련한 공연이 2025년 8월 27일, 서울남산국악당에서 개최됐다. 시공간에서 치열한 미학적 분사가 이루어지는 춤. 유진주는 이번 공연에서 여섯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9.06 22:12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판타지 발레 ‘구미호’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발레로 탄생된 ‘구미호(九尾狐)’. 구미호는 동아시아 설화에서 구전되는 황금빛 털에 9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괴수, 신수(神獸)다. ‘요괴’, ‘변신술’ 등 여러 상징성이 구비문학과 미디어를 통해 알려졌다. M발레단(단장 양영은)의 초연작, ‘판타지 발레 는 어떤 모습일까?’라는 궁금증과 설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8.25 17:04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2025 한국현대춤작가 12인전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역사만큼 깊은 춤미학을 보여준 한국현대춤협회(회장 문영철)의 이 7월 9일부터 16일까지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에서 열렸다. 1987년 시작된 작가전은 일 년 열두 달의 의미처럼 ‘12인전’의 전통과 역사가 한국 현대춤사(史)를 유유히 흐른다. 그룹별로 평하고자 한다.김성훈, 권세현, 문지애,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8.18 18:54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2025 경기발레페스타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현재 무용계에는 민간예술단체 협동조합이 결성돼 있다. 발레는 ‘발레에스티피(STP)협동조합’, 한국무용은 ‘한국무용협동조합 춤에든’, 현대무용은 ‘현대무용협동조합COOP_CODA’ 등이다. 여기에 한국전통무용 분야로 ‘대한민국전통무용협동조합KTDC’가 가세하고 있다. 4개의 민간무용단체 무용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8.13 21:51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신전통Ⅷ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오늘의 춤’을 말하고자 기획된 ‘신전통’ 시리즈는 올해도 어김없이 무대에 올려졌다. 다년간 해당 공연을 보면서 ‘신전통(新傳統)’이 주는 의미, 역할, 가치, 확장 등에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전통춤’과 ‘신전통춤’에 대한 개념, 범주 등에 대한 학술과 현장에서의 논의가 여전히 있는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8.09 22:12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운초 김은희의 춤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전통춤은 근간(根幹)이다. 뿌리와 줄기가 되는 자양분을 운초(運初) 김은희 선생은 원리(原理)에 두었다. 오랜 세월동안 연구하고, 구축한 ‘움직임 원리’가 그 중심에 있다. 중요한 것은 춤의 맥(脈)과 혼(魂)에 기반한 원리여서 유의미하다.춤 인생 65주년을 맞이해 춤이 곧 자신이었음을 천명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8.06 23:49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디디다-생동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춤의 박물관을 만났다. 신화, 텍스트, 몸의 각 요소는 하나를 위해 달렸다. 각 개체는 순환을 통해 다시 한번 깊은 숨을 쉬게 만든다. 엘엔와이댄스그룹(LNYdancegroup) 예술감독 이남영 안무 이다. 작품 타이틀 앞에 ‘신화의 무도’가 연결되어 있음은 함의가 크다. 일련의 작품을 통해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6.16 16:06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갓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핫하다. 요즘 무용계에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윤별발레컴퍼니(대표 윤별)의 ‘갓(GAT)’의 열풍 때문이다. 창작발레 은 한국의 전통 관모(冠帽) 갓과 발레의 운명적 만남을 이뤄냈다. 신분과 격식, 상황에 따라 색깔과 형태, 이미지 등이 다른 것이 갓이다. (재)예술경영지원센터 2025 공연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6.12 18:05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BLACK DIAMOND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젊은 무용수들이 젊은 영혼을 위로했다. 위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희망과 자유를 보여줬다. 대구에서 있었던 프로젝트 참(Project CHAM)의 공연이다. 대구문화창작소가 주최하고, Project CHAM과 COVE(대표 서미교)가 주관한 이번 무대는 아픈 역사 속 현실을 모티브로 해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5.27 15:05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춤과 춤으로 만나다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두 명의 춤꾼이 만났다. 춤길을 같이 걷고 있는 무용가 유진주와 안상화이다. 한국 전통춤 선후배로 만난 두 명이 의기투합해 마련한 무대가 있었다. 2025년 4월 30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개최된 이다.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이 공연은 각자가 두 작품씩을 하고, 듀엣 무대로 피날레를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5.15 21:40
리뷰&인터뷰
이주영의 무용읽기_UBC 지젤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클래식발레 가치를 증명하다. 유니버설발레단(UBC)의 이 보여준 낭만발레의 숭고한 미학성 때문이다. 2025년 4월 18~27일(평자 19일 저녁공연 관람),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진행된 UBC 은 한치의 흐트러짐 없는 발레의 형식미와 내재미를 보여줬다.1984년 창단된 유니버설발레단은
이주영 칼럼니스트
2025.05.15 18:55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