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의 무용읽기_무트댄스 Critical Point

心理와 物理가 직조된 이카루스의 날갯짓
김정아 안무, ‘Critical Point(임계점)’

이주영 칼럼니스트 승인 2023.12.26 20:05 | 최종 수정 2023.12.26 20:12 의견 0

[댄스TV=이주영 무용평론가] 2023년도의 BE-MUT 무트댄스 정기공연은 지난 해 이탈리아 문화원과의 협력공연 이후 두 번째를 맞이했다.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인도, 헝가리 등지에서의 초청공연으로 무트댄스가 지닌 춤미학을 국제무대에 널리 알린 바 있다. 영국,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싱가폴, 캐나다 등 여러나라들과의 워크숍 작업 또한 무트의 춤개성을 비옥하게 만든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무트댄스(예술감독 김정아)의 2023 정기공연 ‘BE-MUT’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두 프로그램으로 풍성하게 진행됐다. 9월 21일은 김정아 안무의 ‘MUTDANCE – Critical Point(임계점)’, 9월 24일은 4인 안무가전 형태의 ‘Workshop Performance’다. 무트댄스 4명 안무자 각자의 개성이 무대에 투영된 워크숍 퍼포먼스는 무트가 지닌 창조적 의지와 용기를 실험과 도전으로 담아낸 시간이었다. 이 글에서는 김정아 안무작 ‘Critical Point’를 중심으로 평하고자 한다.

BE-MUT 무트댄스 정기공연, 'Critical Point’

그리스 신화 다이달로스(Daedalus)와 이카루스(Icarus)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이카루스의 날개’. 이카루스가 추락할 때 달고 있던 날개를 뜻한다. 인간의 끝없는 욕심과 욕망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이카루스의 추락’이라 불린다. 안무자는 ‘Critical Point’를 이카루스의 날개와 호응시켜 작품을 풀어냈다. 임계점이 지닌 물리적, 화학적 현상을 심리적, 사회적, 예술적으로 끌어올려 춤의 임계점을 넘었다. 작품은 욕망에 관한 이야기지만 어떤 결과를 향해 전진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지 않았다. 어떠한 지점을 경유하면서 인간의 마음이 욕심이나 욕망으로 인해 변화되는 주변에 중심을 둔다. 끝없은 인간의 욕망은 결국 ‘드러나는 나’와 ‘숨은 나’ 사이의 지난한 숨바꼭질이다. 그 간극을 내밀하게 살펴, 춤언어로 또 다른 날갯짓을 했다.

무대 왼쪽에서 핀조명 받으며, 여자 솔로 움직임이 시작된다. 강렬한 음악과 함께 피어난다. 날개를 찾는 여정의 시작이다. 중앙에서 응축된 에너지가 발산될 땐 막 사이 그림자가 영글어 간다. 이 작품에서의 막은 단순한 경계짓기를 넘어 목표의 단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날아오름과 추락이라는 상승과 하강 사이사이를 안무자는 지성적으로 포착해 작품에 수용했다. 무대 삼면에 3명씩 배치돼 있다. 심장과 맞닿는 음악소리가 움직임에 힘을 부여한다.

김정아 안무, ‘MUTDANCE – Critical Point'

본(本)에서의 탈출이 시작된다. 작품에서는 ‘탈피(脫皮)’로 명명했다. 새로움을 위한 벗어남이다. 용솟음이다. 응축미 있다. 무대 중앙에 사각 프레임이 아로새겨진다. 중심과 주변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양가성(兩價性)을 이루고 있는 삶의 철학이 묻어난다. 군무 후, 4명의 춤이 활기차다. 좌우에 셋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정적인 듀엣 움직임이 이어진다. 듀엣의 구심력은 군무의 원심력에 돛을 단다.

시간을 멈춘 듯 잠시 무음악 상태. 사선으로 춤 물결이 일렁인다. 겉옷을 풀어 날개삼아 순차적으로 사람을 건너간다. 분위기 전환 후, 다양한 질감의 음악 속에 6명의 무용수가 후방에서 앞으로 나온다. 경건히 예(禮)를 올린다. 두드림 속 구도적(求道的) 움직임은 미니멀(minimal)하되 확장성 강하다. 둔탁한 사운드가 들린다. 무거운 음악 속에 6명의 움직임은 깊어진다. 두드림 소리 잦아들 때 무대 중앙에 일렬로 서 있다. 시원성(始原性) 가득하다. 사유의 진폭이 움직임에 매달리는 순간이다. 공간을 넘어서는 찰나다. 음악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춤적 효과를 상승시킨 건 이번 작품의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다. 무대세트나 장치없이 마치 큰 산과 바다를 건너가는 느낌을 받게한 것은 공간성을 창출하고, 지배했기 때문이다. 안무자의 춤철학이 담지된 결과다.

김정아 안무, ‘MUTDANCE – Critical Point'

무대 후방 군무 속 여자 솔로춤이 유려하다. 테크닉 측면에서도 뛰어나 시선을 끈다. 처연함과 갈망함이 동시에 깃들어 있다. 흡입력 강하다. 장면 구조화는 이를 뒷받침 한 기제로 작용했다. 마지막에 홀로그램 같이 막에 포즈하며 마무리된다.

무트댄스의 이번 공연은 심리(心理)와 물리(物理)의 직조다. 욕심과 욕망이라는 변화의 흐름을 잘 변주했다. 솔로춤, 2인무, 4인무, 6인무 등 각 장면마다의 변화가 유기적으로 처리됐다. 음악이 탄탄하게 받쳐 줘 이미지를 선명하게 그려주고, 공간창출 효과에도 기여했다. 작품 ‘Critical Point’은 임계점(臨界點)에 대한 근원적 탐색을 시도해 욕망이란 심리적 사이클을 철학성있게 구현한 수작(秀作)이다. 막을 통해 투영, 분사, 굴절시키는 처리 방식은 변화의 물결에 날개를 달아줬다. 응축된 솔로춤의 메시지 전달력은 춤의 높은 파고를 거침없이 헤쳐나갔다. 감성과 이성을 동시에 이끌어냈다. 더 높은 곳만을 향해 질주할 땐 추락할 수 밖에 없는 우리네 삶에 경종을 울린다. 오늘날 이카루스의 날개에도 유효하다.

BE-MUT 무트댄스 정기공연, 'Critical Point’

이주영(무용평론가・고려대 문학박사)

7dancetv@naver.com
Copyright(C)DANCETV,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자(c)댄스티브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댄스TV= 이주영(무용칼럼니스트)-이주영의 무용읽기_무트댄스 Critical Point

저작권자 ⓒ 댄스TV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