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댄스TV = 고호 기자]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 김도일
)는
문화예술 분야의 사회성과연계채권
(SIB: Social Impact Bond) 제도
도입과 활성화를 위하여 사회성과보상사업 지방정부협의회
(회장 서울특별시
)의 특별회원으로 가입하였다고 전했다
.
행정안전부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이어
세 번째 특별회원이다
. 사회성과연계채권은 민간
투자로
공공사업을
수행한
후
성과목표
달성
시
공공예산을 집행하여
투자자에게
이자와
함께
상환하는 방식이며
, 사회성과보상사업은 이를 활용한 공공사업으로서 정부의 재정부족 문제와 사회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평가받고 있다
.
사회성과보상사업 지방정부협의회는 지방자치법 제
152조에 의거
, 지방정부 간 정보공유 및 협력 필요에 의해 구성된 행정협의회로서 팬임팩트코리아
(대표 곽제훈
)가 사무국을 운영한다
.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지난
2009년부터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조직의 육성 및 컨설팅 지원 뿐 아니라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실태조사 등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의 기반 구축에 힘쓰고 있다
. 2019년 투자 등 재원 확보의 근거 마련 및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생력 강화를 위하여 한양대학교와 함께 문화예술 분야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성과 평가모형을 개발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는 이들 조직이 창출하는 사회적가치를 화폐화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올 상반기에는 ▲
(주
)댄스플래너
(무용전공자의 해외 무용단 입단 지원 등 일자리 창출
), ▲주식회사 옴니아트
(버려지는 회화작품을 활용한 가방 등 제작 및 신진 예술가 수익 창출
)의 사회성과를 화폐 환산한 「문화예술 사회적 임팩트 보고서」를 발간하였고 현재 ▲㈜하비풀
(온라인 문화예술취미 플랫폼 운영 및 노숙인 일자리 창출
), ▲㈜해녀의부엌
(지역 유휴공간 활용 및 공연‧식사 결합 콘텐츠 개발
)이 문화예술 사회성과를 화폐화하여 보상하는 사업에 참여 중이다
. 문화예술 분야 첫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올해 사업의 성과는
2020 예술경영주간 문화예술 사회성과 포럼
(12. 01)에서 공유할 예정이다
.
공공자금의 투입 비중이 높은 반면 투자는 활발하지 않은 문화예술 분야에 기존 제도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사회성과보상사업 방식의 도입을 위해서는 전문성 있는 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했다
. 따라서 사회성과보상사업 지방정부협의회 회원 가입은 더욱 실효성 있는 사회문제 해결과 더불어 민간 투자 유치의 가능성을 제고하는 기회가 될 예정이다.
김도일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는
“사회성과보상사업 지방정부협의회 가입을 계기로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문화예술 분야에서 새롭게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고 말했다
.
이후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사회성과보상사업 지방정부협의회와 정보 교류
, 자문 및 공동연구 등을 통해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성과를 재조명하고 문화예술 분야 특성을 반영한 전문적인 측정과 보상 체계를 구축하는 등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7dancetv@naver.com
Copyright(C)DANCETV,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자(c)댄스티브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